2020-08-31 이론 1부터 100까지의 수의 합을 구하는 방법 1 + 2 + 3 . . . . . . + 100 까지의 합을 손쉽게 코딩으로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t sum, number; number = 0; sum = 0; // 우선적으로 1씩 더해줄 변수 number 선언 // 각 number가 더해질 sum변수를 선언합니다. do { number++; sum += number; }while(number
2020-08-31 거듭제곱 수학에서, 거듭제곱(승멱乗冪 또는 멱冪, exponentiation)은 주어진 수나 문자를 주어진 횟수만큼 여러 번 곱하는 이항연산이다. 이 주어진 수를 밑(영어: base)이라고 하고, 주어진 횟수를 지수(指數, 영어: exponent 또는 power, 문화어: 어깨수)라고 한다. 소스코드 int Two = 2; System.out.println(Math.pow(Two, 2)); //앞에는 제곱을 하고자하는 수 //뒤에는 제곱하고자 하는 만큼의 수를 입력해 준다. //출력값 : 4.0 System.out.println(Math.pow(Two, 3)); //출력값 : 8.0 제곱근 수학에서, 어떤 수의 제곱근(제곱根, 영어: square root)은 제곱하여 그 수가 되는 수..
2020-08-29 수학에서, 절댓값(絕對-, 영어: absolute value 또는 modulus)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다. 이는 선형대수학의 노름과 추상대수학의 절댓값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말은 어렵지만 프로그램에서 활용시에는 마이너스 값이 나오더라도 항상 양수의 값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한다. 아래는 소스코드다. 소스코드 int a = 1 - 2; System.out.println(a); //출력값 == -1 int b = Math.abs(a); System.out.println(b); //출력값 == 1 Math 클래스 중 abs 매소드를 활용하여 쉽게 절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2020-08-27 2진수 이진법에서는 0과 1로 모든 수를 표현한다. 컴퓨터 상에서는 각각의 자리를 비트라고 부르며, 각각의 비트는 켜져있거나 꺼져있는 두 가지 상태로 표시된다. 다음 수는 십진수 155를 이진법으로 표현한것이다. 10진수 → 2진수 변환 소스코드 String nTwo = Integer.toBinaryString(155); //진수 변환을 위해서 속성값은 항상 String으로 받아야한다. System.out.println(nTwo); 출력값 1 0 0 1 1 0 1 1 2진수 → 10진수 변환 소스코드 위의 변수 nTwo 값을 다시 가져와 변환을 한다. int nTen = Integer.valueOf(nTwo, 2); //10진수로 변환하고자 하는 값은 속성값을 int로 설정해야한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