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자바 피보나치 수열을 구해보자! / 피보나치 수열 구하는법 이론](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e74IT%2FbtqHQG1pnSL%2FAAAAAAAAAAAAAAAAAAAAAGrSm5sVkSfMeSKb2y9BkMDjki2Eo9bFmzMvAkDYgfrF%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aGQBaK5VfiWpXxeM26r2VA8cOo%253D) 
								
							2020-09-04 피보나치 수열 정의 수학에서, 피보나치 수(영어: Fibonacci numbers)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 처음 여섯 항은 각각 1, 1, 2, 3, 5, 8이다. 편의상 0번째 항을 0으로 두기도 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소스코드 ※ 10번째 피보나치 수열 즉 F10을 구해보자. ※ 피보나치 수열은 0 부터 시작한다. int a = 0; //첫째 항 int b = 1; //둘째 항 int c = 0; // 셋째 항 = 출력값 for(int i = 1; i < 10; i++) { c = a + b; a = b; b = c; } // 피보나치는 0, 1, 1, 2, ... 순으로 커지기 때문에 // F0의 값은 a와 같고 F1..
![[Java] 자바 팩토리얼을 구해보자! / 1! + 2! + 3! . . . . + 10!의 합은?](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hXvBk%2FbtqHQGG6SKg%2FAAAAAAAAAAAAAAAAAAAAAL3LehMWxPAHwnqqKbMtkyXHblhpiaOEpRK07nWXnDJE%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uzfPUDHYA01P5n8diMeSFhyaJjo%253D) 
								
							2020-09-04 팩토리얼 정의 수학에서, 자연수의 계승 또는 팩토리얼(階乘, 문화어: 차례곱, 영어: factorial)은 그 수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양의 정수의 곱이다. n이 하나의 자연수일 때, 1에서 n까지의 모든 자연수의 곱을 n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위와 같은 팩토리얼을 자바의 반복문인 for 과 while을 통해서 구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for문 사용 소스코드 ※ 특정 숫자의 팩토리얼을 알고 싶다면, i 의 범위 값을 조절하면 된다. ex) 5! 값은 i 값을 5로 바꾼뒤에 temp 출력 / 5! 까지의 합은 sum 출력 int temp = 1; //각 i에 다른 팩토리얼이 저장되는 값 // ex) i = 2 → 2! int sum = 0; //각 팩토리얼이 더해..
![[Java] 자바 수열 연속합 구하기 1~100까지의 합구하기 / 자바수열](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uGvgc%2FbtqHEepg8Qs%2FAAAAAAAAAAAAAAAAAAAAAHnpko1cFH77vaiZATWFQDZhXpnMMan3AKpP7gv1EjQe%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YerBhECut1yKRBpMNXO2RmtI8%252FQ%253D) 
								
							2020-08-31 이론 1부터 100까지의 수의 합을 구하는 방법 1 + 2 + 3 . . . . . . + 100 까지의 합을 손쉽게 코딩으로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t sum, number; number = 0; sum = 0; // 우선적으로 1씩 더해줄 변수 number 선언 // 각 number가 더해질 sum변수를 선언합니다. do { number++; sum += number; }while(number
![[Java] 자바 제곱/제곱근을 구해보자! / 자바 제곱 제곱근 구하는법](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lcWFM%2FbtqHA32E8Av%2FAAAAAAAAAAAAAAAAAAAAADitVxGvyb0DLXLh8CMbDA1nNi4rT1az7I03YIu_09_S%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eAku0PdQ6KI1yv9Ov%252B60RAPcQ3g%253D) 
								
							2020-08-31 거듭제곱 수학에서, 거듭제곱(승멱乗冪 또는 멱冪, exponentiation)은 주어진 수나 문자를 주어진 횟수만큼 여러 번 곱하는 이항연산이다. 이 주어진 수를 밑(영어: base)이라고 하고, 주어진 횟수를 지수(指數, 영어: exponent 또는 power, 문화어: 어깨수)라고 한다. 소스코드 int Two = 2; System.out.println(Math.pow(Two, 2)); //앞에는 제곱을 하고자하는 수 //뒤에는 제곱하고자 하는 만큼의 수를 입력해 준다. //출력값 : 4.0 System.out.println(Math.pow(Two, 3)); //출력값 : 8.0 제곱근 수학에서, 어떤 수의 제곱근(제곱根, 영어: square root)은 제곱하여 그 수가 되는 수..
![[Java] 자바 절대값을 구해보자! / 자바 절대값 함수 구하는법](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6dQKt%2FbtqHsclIIOR%2FAAAAAAAAAAAAAAAAAAAAAAZ5JeWBanlqw7RPXuM689JJtX2yiyWqoeohiKfmp9PA%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oqUltPkZ1XC1KR2bUcbUOBXz9X8%253D) 
								
							2020-08-29 수학에서, 절댓값(絕對-, 영어: absolute value 또는 modulus)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다. 이는 선형대수학의 노름과 추상대수학의 절댓값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말은 어렵지만 프로그램에서 활용시에는 마이너스 값이 나오더라도 항상 양수의 값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한다. 아래는 소스코드다. 소스코드 int a = 1 - 2; System.out.println(a); //출력값 == -1 int b = Math.abs(a); System.out.println(b); //출력값 == 1 Math 클래스 중 abs 매소드를 활용하여 쉽게 절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Java] 자바 진수변환 10진수에서 2진수/8진수/16진수변환하는법](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y422K%2FbtqHoric9cd%2FAAAAAAAAAAAAAAAAAAAAAGmyHsHVEOQrFrB9IQjaNPEzKRo5sd--W8YRHa6eDex9%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645147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V6Onm7BG8Ddccy%252FEbyEl6RtEOwU%253D) 
								
							2020-08-27 2진수 이진법에서는 0과 1로 모든 수를 표현한다. 컴퓨터 상에서는 각각의 자리를 비트라고 부르며, 각각의 비트는 켜져있거나 꺼져있는 두 가지 상태로 표시된다. 다음 수는 십진수 155를 이진법으로 표현한것이다. 10진수 → 2진수 변환 소스코드 String nTwo = Integer.toBinaryString(155); //진수 변환을 위해서 속성값은 항상 String으로 받아야한다. System.out.println(nTwo); 출력값 1 0 0 1 1 0 1 1 2진수 → 10진수 변환 소스코드 위의 변수 nTwo 값을 다시 가져와 변환을 한다. int nTen = Integer.valueOf(nTwo, 2); //10진수로 변환하고자 하는 값은 속성값을 int로 설정해야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