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1 그레이 부호 또는 그레이 코드(gray code는 이진법 부호의 일종으로, 연속된 수가 1개의 비트만 다른 특징을 지닌다. 연산에는 쓰이진 않고 주로 데이터 전송, 입출력 장치, 아날로그-디지털 간 변환과 주변장치에 쓰인다.[1] 출처 : 위키피디아 소스코드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 arr = new int [5]; //4자리의 그레이 코드를 받을 변수다 //크기가 5인 이유는 맨앞에 숫자가 //0이나 1이냐 판단하여, //0일 경우에는 그레이코드 → 이진수 변환 //1일 경우에는 이진수 → 그레이코드 변환 for(int i = 0; i < arr.length; i++) { arr[i] = scan.nextInt(); } int..
2020-09-10 선택 정렬(選擇整列, selection sort)은 제자리 정렬 알고리즘의 하나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주어진 리스트 중에 최솟값을 찾는다.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한다(패스(pass)). 맨 처음 위치를 뺀 나머지 리스트를 같은 방법으로 교체한다. 비교하는 것이 상수 시간에 이루어진다는 가정 아래, n개의 주어진 리스트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렬하는 데에는 Θ(n2) 만큼의 시간이 걸린다. 선택 정렬은 알고리즘이 단순하며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제한적인 경우에 사용 시 성능 상의 이점이 있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말은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무작이로 정렬되어 있는 배열 4 8 9 10 2 1 3 5 6 7을 1 2 3 4 5 6 7 8 9 10처럼 최솟값..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