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3 아마 자바(java)를 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속성 두 가지를 뽑자면, String과 Int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물론 알고리즘 문제를 접할 때도 해당 속성을 자유자재로 바꿀 줄 알아야 하는데, 오늘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문자열 형태에서 정수형으로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자. 방법은 간단한데, 아래와 같다. 소스코드 String str = "123"; int number = Integer.parseInt(str); System.out.println(number); 처음에는 바꾸고 싶은 문자열을 설정하고 Integer.parseInt로 형변환을 처리 후 정수형 변수에 넣어주면 간단히 String → Int 형을 바꾸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정수형에..
2020-10-12 문제 소수란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떨어지는 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1, 2, 3, 5, 17, 101, 10007 등이 소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편의상 1도 소수로 하자.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영어 단어가 하나 있을 때, a를 1로, b를 2로, …, z를 26으로, A를 27로, …, Z를 52로 하여 그 합을 구한다. 예를 들어 cyworld는 합을 구하면 100이 되고, abcd는 10이 된다. 이와 같이 구한 수가 소수인 경우, 그 단어를 소수 단어라고 한다. 단어가 주어졌을 때, 그 단어가 소수 단어인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가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20자 이하이다. 주어지는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와 대문자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
2020-10-11 Cascade 동사로는 폭포처럼 떨어지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Cascading은 폭포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CSS 상에서의 Cascading 폭포라는 의미보다는 우선순위라는 해석으로 받아들이는 게 조금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이와 같은 캐스케이딩이 존재하는 이유는 웹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내 여러 선택자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선택자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않는다면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제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살펴보도록 하자. 포도 사과 수박 우선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를 하나 만들어주었다. 주제는 과일로 정해 사과에 다양한 선택자를 주었으면 내용은 아래와 같다. id(빨간색) / class(초록색) / style(노란색) / ..
2020-10-10 문제 두 개의 이진수를 입력받아 이를 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두 개의 이진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이진수는 1 또는 0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0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이진수의 길이는 8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이진수 덧셈 결과를 출력한다. 결과가 0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력되는 이진수는 항상 1로 시작해야 한다.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N = scan.next(); String M = scan.next(); int [] sum = new int [80]; int max = N.length() >= M.length() ? N.length() : M.length(); ..
2020-10-09 문제 상근이는 덧셈과 나눗셈을 엄청나게 못한다. 이런 상근이를 위해 정인이는 상근이에게 다음과 같은 문제를 냈다. 정인이는 양의 정수 A,B,C,D로 이루어진 2*2 표를 그렸다. 위와 같은 표가 있을 때, 표의 값은 A/C + B/D 이다. 상근이는 표를 몇 번 돌리면 표의 값이 최대가 되는지 궁금해졌다. 표는 90도 시계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문제 상단의 표를 1번 회전 시키면 다음과 같다. 2번 회전 시키면 다음과 같이 된다. 표에 쓰여 있는 A,B,C,D가 주어졌을 때, 표를 몇 번 회전시켜야 표의 값이 최대가 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둘째 줄에 C와 D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모든 수는 100보다 작..
2020-10-08 수학에서 이분법(二分法, Bisection method)은 근이 반드시 존재하는 폐구간을 이분한 후, 이 중 근이 존재하는 하위 폐구간을 선택하는 것을 반복하여서 근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간단하고 견고하며 해의 대략적 위치를 안다면 일정 오차 내에 있는 1개의 해는 무조건 도출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느린 방식이다. 이분법은 근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전제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므로 근이 존재할 가능성은 100%이므로 방정식이 간단하고 근 자체가 가장 중요한 목적인 경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위의 정의를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간단하다. 각 배열의 크기에서 처음위치과 끝위치을 더한 후 2로 나눈 중간값이 찾고자 하는 값보다 크면 전체 범위를 처음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