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17 DecimalFormat은 다양한 숫자 데이터를 자신의 원하는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늘은 이와 같은 클래스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package tFormat; import java.text.DecimalForma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0 10진수의 빈자리는 0으로 채운다. // # 10진수의 빈자리는 채우지 않는다. // . 소수점을 표현 ex) #.0 double num = 11111.1111; DecimalFormat df = new DecimalFormat("0"); System.out.println(df.format(num)); //소숫점 표시안해주어 출력안됨 df..
2021-01-16 이번에 TreeMap에 이어서 TreeSet에 대하여 알아보자. 마찬가지로 이진트리구조를 가지고 있는 컬렉션으로써, 이진트리 구조를 잘 모를 경우 전 글을 확인하자. seeminglyjs.tistory.com/227 사실 Set이라는 자료구조 특성상 Map보다는 훨씬 간단하기 떄문에 바로 코드로 알아보도록 하자. package tTreeSet; import java.util.TreeSe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eeSet tSet = new TreeSet(); tSet.add(10); tSet.add(20); tSet.add(30); tSet.add(40); tSet.add(50); } } 기존..
2021-01-15 문제 목장 주인인 상배는 양과 염소들을 같이 기르고 있다. 기르는 양과 염소는 각각 한 마리 이상이다. 양과 염소는 같은 사료를 먹고, 양 한 마리는 하루에 사료를 정확히 a 그램 먹고, 염소 한 마리는 하루에 정확히 b 그램을 먹는다고 한다. 상배는 매일 아침 양과 염소가 각각 몇 마리인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한다. 양과 염소가 각각 몇 마리인지 확인할 때, 양과 염소들이 돌아 다녀서 정확하게 그 수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대신에 양과 염소가 전체 몇 마리인지를 확인하고, 또 양과 염소가 어제 하루 동안 소비한 전체 사료의 양만 확인해서 양과 염소가 각각 몇 마리 인지를 알려고 한다. 상배가 확인한 양과 염소 전체가 n마리이고, 어제 하루 동안 소비한 전체 사료의 양이 w그램일 ..
2021-01-14 TreeMap에서는 Tree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이는 이진트리 구조를 뜻하는데, 아래 보이는 노드들이 바로 이진트리 형태의 구조이다. 맨 위의 시작 노드를 보통 루트(root)라고 불리며, 나머지는 n개의 자식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노드 위에 루트 노드를 제외한 인접한 상위 노드가 있다면 그 상위 노드를 부모 노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해당 구조를 자세히 보면 같은 자식이라도 왼쪽은 작은 자식 오른쪽은 큰 자식이라고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아래 이진트리를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부모(상위) 노드를 기준으로 큰 값은 우측 작은 값은 좌측에 저장된다. 자 이제 tree 구조 설명을 됐으니 TreeMap을 살펴보자. TreeMap의 가장 큰 장점은 객체를 ..
2021-01-13 자바의 상속관계를 구현하는 과정 중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간혹 목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아래는 예제로 사용될 부모 클래스이다. package eException2; public class Parent { String name; int age; public Parent(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이후 자식 클래스에서 성별이라는 필드를 추가해 새로운 생성자를 만들 예정이다. 하지만 위와 같이 생성자에서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분명 extends로 Parent를 물려받아 필드 name / age를 사용할 수 있는데, 실제 코..
2021-01-12 웹브라우저를 크롬을 사용하다 보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검색엔진 창이 아닌 이외의 브라우저 공간에 텍스트 커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게 생각보다 거슬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큰 이미지 옆에 커서 위치가 있을 경우에는 엄청나게 거대한 텍스트 커서를 볼 수 있다. . . ) 사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크롬 설정상에 접근성문제로 인한 것인데 크롬 설정창에 들어가 변경해주면 된다. 우선 우측 크롬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위의 이미지처럼 점이 3개 수직으로 붙어 있는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 주면 아래와 같은 목록이 나타나게 되고 그중 설정을 클릭해주면 된다. 설정에 들어가면 하나의 설정탭으로 이동하게 되며, 좌측에 아래와 같은 탭이 생성되게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