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7 현재 MySQL 내에 저장된 이벤트 스케줄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명령어 SHOW EVENTS; 해당 명령어는 현재 DB에 등록된 이벤트 정보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는 DB명, 이벤트 이름, 이벤트 작성 계정, 타임존, 타입, 인터벌 값 , 인터벌 필드 값 ex) DAY, character set... 등을 확인할 수 있다.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EVENTS; 다음 이벤트의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기본적인 내용을 SHOW EVENT와 동일한 데이터를 보여주지만 추가적으로 이벤트 스케줄러 작성시 실제 쿼리가 동작하는 DO 이후에 쿼리문 또는 프로시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이..
2022-04-04 톰켓 서버 운영 간 계속해서 로그가 쌓이는 파일이 있는데, catalina.out라는 파일이다. 해당 파일의 계속해서 차거나 더 이상 로그를 기록할 수 없을 때 서버에 에러가 나곤 하는데, 그럴 경우 해당 파일을 비워줘야 한다. 오늘은 이와 같은 방법을 알아보자. - 명령어 cat /dev/null > /tomcat[자신의 톰켓 폴더이름]/logs/catalina.out 명령어는 상당히 간단한다. 리눅스에서 윈두우에서의 휴지통과 같은 기능을 하는 /dev/null을 이용해서 로그가 계속 쌓이고 있는 catalina.out 파일을 빈파일 처럼 만들어 주면 된다. 명령어를 해석하면 /dev/null(데이터가 없다는 의미)의 정보를 톰켓 로그 파일에 적용(>)해라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메..
2022-04-01리눅스의 디렉터리는 윈도우처럼 단순희하게 우클릭으로 확인할 수 없어 난감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리눅스에서는 du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세히 파일의 용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은 이와 같은 du의 사용 방법을 빠르게 알아보자.- 기본 명령어du#파일용량 파일위치 ex) 122 ./log/log2/log3현재 디렉토리에서 du 명령어를 사용하면 위와 같이 파일 용량 파일 위치 형식으로 디렉터리 별 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는 실제 파악하기 매우 불친절하기 때문에 몇 가지 옵션을 주는 것이 좋다.- 옵션 부여du -h#파일용량 파일위치 #ex) 100M ./log/log2/log3#ex) 10K ./log/log2/log3/log4가장 많이 사용하는..
2022-03-22 원격 데스크톱 사용 시 기존의 ctrl + alt + delete를 사용하면 원격 컴퓨터가 아닌 기존의 자신의 개인 PC 작업 관리자가 작동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 방법 ctrl + alt + end 위의 단축키를 동시에 누르면 개인 PC 가 아닌 원격으로 접속한 PC의 작업관리자를 단축키로 실행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Olena Sergienko on Unsplash
2022-03-21 종종 Mysql 내부의 타임존의 다른 국가로 설정되어 있으면, DML 실행 및 이벤트 스케줄러 설정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확인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확인 방법 SELECT @@GLOBAL.TIME_ZONE AS GLOBAL_TIME, @@SESSION.TIME_ZONE AS SESSION_TIME, @@SYSTEM_TIME_ZONE AS SYSTEM_TIME; 우선 확인하는 방법은 위와 같다. 순서대로 전체 DB의 글로벌 타임존 / 현재 접속 세션 / 시스템 시간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변경 방법 SET GLOBAL TIME_ZONE='Asia/Seoul';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RDS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Amazon RDS >..
2022-03-14 위 에러는 이미 톰캣 서버의 포트가 이미 할당되어 서버가 올려져 있는데 동일한 포트로 톰캣 서버를 올리려고 하니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방법 현재 IDE 에서 서버는 내려간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콘솔 창에서 이를 해결해야 한다. Window + r -> cmd 창에 접속한다. 그리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netstat -ano | find "톰켓포트번호" -- EX) netstat -ano | find "8080" 톰켓 포트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기본 포트 8080 포트로 잡혀있을 것이다. 톰켓 포트번호로 적힌 곳에 자신이 실행했던 포트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5개의 항목이 보이게 되는데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