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3 쉘 스크립트 사용 시 일부 명령어의 결과를 변수에 담아 처리해야 되는 작업들이 종종 있다. 방법을 알아보자. 1. 변수선언 #!/bin/bash -e data=$(cat data.txt) echo "##########data -> [$data]##########" 첫 번째 방법은 명령어를 $()로 감싸는 방법이다. #!/bin/bash -e data='cat data.txt' echo "##########data -> [$data]##########" 두 번째 방법은 명령어를 ''로 감싸는 방법이다. 두 방법 모두 결과는 동일하니 자신이 원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Kelly Sikkema on Unsplash
2022-05-27 아마존 콘솔에 로그인 시 메일로 알람을 받는 방법을 알아보자. 1. CloudTrail 기본적인 원리는 CloudTrail 에서 잡히는 모든 이벤트 중 콘솔 로그인에 대한 이벤트를 EventBridge가 캐치하여, 지정된 메일로 보내주는 방식이다. 없으면 하나 만들면 된다. 위와 같이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는 옵션들을 그대로 나 두고 만들기만 하면 된다. 2. Amazon SNS 이제 EventBridge 가 이벤트 캐치 후 보낼 대상을 선택해주어야 한다. Amazon SNS 서비스에 들어가 주제를 생성해 준다. 위와 같이 3가지 값만 설정한 후 주제를 생성하면 된다. 여기서 구독 생성을 하여 구독을 하나 만들어준다. 이메일로 받을 거기 때문에 이메일을 설정해주고 이후 받을 이메일 주..
2022-05-18 서버에서 AWS CLI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있다. 오늘은 이와 같은 방법을 알아보자. 1.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우선적으로 IAM의 계정 권한 중 AmazonS3 FullAccess 권한이 필요하다. S3 이외의 다른 명령어 사용 시 추가적인 권한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S3 접속만 할 거니 다른 권한은 따로 주지 않았다. 또한 서버에서 접속 및 configure 등록을 위해 액세스 키가 필요하니 보안 자격 증명에서 액세스 키를 발급받아 액세스 키와 시크릿 키를 남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잘 저장해 두어야 한다. 2. S3 S3는 보통 퍼블릭 액세스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권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자신이 ..
2022-05-06 기존에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다가, content-type이 text/plain 형식의 json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데, [org.springframework.web.HttpMediaTypeNotSupportedException: Content type 'text/plain;charset=UTF-8' not supported]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코드 @RequestMapping(value="/") public void t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body에 있는 제이슨을 받은 객체 String bodyJson = ""; StringBuilder str..
2022-04-21 Aurora DB 운영 중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쿼리로 인해서 서비스가 종종 느려지거나 DB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해당 쿼리를 즉시 AWS 콘솔 화면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오늘은 이와 같은 설정 방법을 알아보자. - Aurora 클러스터 설정 우선 자신 Aurora DB 의 클러스터 정보에서 아래와 같은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확인하고자 하는 클러스터 > 수정 > 추가구성(옵션) > 로그 내보내기(옵션) ] 위의 설정이 체크되어 있으면, 일단 절반은 끝났다. 위의 옵션에 체크해야 cloudwatch에서 로그 값을 확인할 수 있다. - 클러스터 파라미터 그룹 설정 RDS 존재하는 파라미터 그룹 중 자신의 로그를 내보내고 싶어하는 클러스터의 파라미터 ..
2022-04-13 오토스케일링과 같이 서버의 과부하를 높여 테스트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 트래픽을 유발해서 테스트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지만, 시간과 자원이 여유치 못할 때 서버의 직접 적인 부하를 주어 테스트하는 방법이 있는데, 오늘은 이와 같은 방법을 알아보자. - 패키지 설치 # 설치 명령어 yum install -y stress # 버전 확인 명령어 stress --version 위의 명령어는 순서대로 패키지를 설치하고 해당 패키지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 이다. 만약에 자신의 운영하는 서버가 EC2이고 단순히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한 후 다시 패키지를 설치해보자. # 아마존 리눅스 전용 epel 설치 명령어 amazon-linux-extras 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