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0 1. 방법 기존의 존재하는 container 자체의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은 따로 없어 자신의 원본 컨테이너 (아래의 예제에서는 origin)을 복사하여 이미지로 만든다.(아래의 예제에서는 copy) 이후 다시 run을 통해 새로운 컨테이너 명과 포트 포워딩을 명시하고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사용하면 된다. //만약에 변경할 컨테이너가 실행중이라면 우선 멈춘다. docker stop origin docker commit origin copy docker run --name new_origin -p 80:80 -d copy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NEOM
2024-01-08 1. 방법 Preferences -> Settings 로 들어간다. word wrap 을 검색한다. 이후 Controls how lines should wrap 을 on 으로 변경한다.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Luca Severin
2023-11-27 1. 자동완성/변환 Ctrl + Space: 코드 자동 완성 Ctrl + Shift + Space: 스마트 코드 완성 (현재 컨텍스트에 맞게 자동 완성 제안) Alt + Enter: 빠른 동작 및 오류 수정을 위한 제안 보기 Ctrl + Shift + Enter: 문장 완성 및 자동 줄바꿈 Ctrl + Shift + U: 대/소문자 변환 Ctrl + R (또는 Cmd + R): 바꾸기 Ctrl + Shift + F6 (또는 Cmd + Shift + F6): 변수 이름 변경 2. 검색/이동 Ctrl + F (또는 Cmd + F): 찾기 Ctrl + Shift + N: 파일 또는 디렉터리 검색 Ctrl + Shift + F: 전체 프로젝트에서 텍스트 검색 Ctrl + Shift + Alt..
2023-10-101. 방법 우선적으로 사용할 템플릿 파일을 아무거나 만들어준다. 이후 File > Save File as Template생성할 Template 명을 확인 한 뒤 OK 를 누르면 된다. 이후 파일 생성시 만들어진 템플릿을 사용하여 생성하면 된다.2. 수정 방법 Setting > Editor > File and Code Templates 에서 자신의 편집하고 싶은 또는 기존에 template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NEOM
2023-01-20 1. 방법 file -> settings -> gradle에서 build and run using 및 run tests using을 gradle이 아닌 인텔리제이 ide로 변경해 주면 된다. gradle의 경우 매번 다시 빌드하기 때문에 run이 굉장히 느리게 동작하게 된다.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Ivan Tsaregorodtsev
2023-01-17 1. 방법 상당 run / debug configuration 에서 edit 버튼 클릭 edit configuration settings 에서 modify options 클릭 on update action -> update classes and resources 선택 on frame deactivation -> update classes and resources 선택 하여 설정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Patrick Fede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