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1. 방법 Authentication > 설정 > 사용자 작업 > 이메일 열거 보호(권장) 체크박스 해제를 해주면 된다. 해당 부분은 2023년 9월 15일 이후에 프로젝트를 만든 경우 이메일 열거 보호가 기본적으로 사용 설정이 되는데 이는 이메일 열거는 악의적인 행위자가 API에 이메일 주소를 전달하고 응답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사용자를 추측하거나 확인하는 무차별 대입 공격의 한 유형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이 된다고 한다. 2.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7147854/firebase-please-verify-the-new-email-before-changing-email-auth-operation-not firebase: please ver..
2024-04-03 1. 방법 아래와 같이 코드를 구성하면 최초 페이지 접속 후 이미지가 지역변수에 담기게 되어 이후에 이미지 경로를 변경해도 깜빡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let images = []; //이미지 객체를 담을 변수 let imagesUrs = []; //동적이미지 url 정보르 담을 변수 실제 이미지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function imgPreload() { for(let i = 0; i < imageUrls.length; i++) { images[i] = new Image(); images[i].src = imageUrls[i]; } } imgPreload() } 메인 ..
2024-04-01 1. 예시 코드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해당 코드의 결과는 항상 로그인이 되어 있든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던 로그아웃을 하던 "if (authentication.isAuthenticated()) log.info("인증됨")" 코드가 실행된다. 즉 authentication.isAuthenticated() 이 부분이 항상 true를 리턴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getAuthentication(); if (authentication.isAuthenticated()) log.info("인증됨") else log.info("인증안됨") } 2. 원인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