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4 thymeleaf에서 전달받은 파라미터 정보가 null일 때와 "" (빈 문자열) 여부를 체크해 주어 클라이언트에게 보이는 정보를 다르게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 소스코드 위의 코드를 보자 여기서 null과 ""를 체크하는 코드는 바로 ${not #strings. isEmpty(user.id)} 이 부분이다. #strings. isEmpty는 유저라는 객체의 아이디가 null이거나 빈문열일 경우 true 반환하게 된다. 앞에 not을 붙여주면 반대로 파라미터의 정보가 있을 때 true를 반환한다. 반면에 null과 "" 일 경우의 특정값을 출력하고 싶으면 위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내 주면 된다.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T..
2021-07-29 입출력 스트림 및 다양한 경우에 바이트 배열을 String으로 String을 바이트 배열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오늘은 이와 같은 경우에 어떻게 처리하는 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 예제 예제의 순서는 이러하다 우선적으로 하나의 String 객체를 선언해주고 이를 byte 배열로 변경한 후 다시 String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문자열 객체 String str = "Hello World"; //문자열 객체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 byte [] arrByte = a.getBytes(); // 변환된 객체를 다시 문자열로 변환 String result = new String(arrByte); System.out.println(result); // He..
2021-07-24 뒤로 가기 버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준비할 거 없이 a 태그 하나만 사용하면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오늘은 이와 같은 방법을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자. - 소스코드 // 히스토리의 back을 사용한 뒤로가기 링크 구현 뒤로가기 // 히스토리의 go를 사용한 뒤로가기 링크 구현 뒤로가기 위의 두 코드는 뒤로가기 버튼 구현 시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 코드로 자신의 기호와 상황에 맞게 사용해주면 된다. (작성자는 가독성 면에서 back() 메서드가 조금 더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곤 한다.) (버튼 형식으로 구현하고 싶으면 a 태그안에 button 태그를 넣어서 구현하면 된다.) 메인 이미지 출처: Photo by Toa Heftiba on Unsplash
2021-07-19 EL문에서 JSONObject를 호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물론 DTO를 사용해서 객체화시킨 후 전달하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이다.) - 예제 //model 값으로 전달해준 JSONObject 객체 //의 get 메소드를 사용하고 key 값을 // " " 감싸서 매개값으로 주면 // 해당 키에 해당 하는 값(value)를 // 추출할 수 있다 ${jsonObj.get("result_code") } 매우 간단한다. 컨트롤러나 서비스 단에서 사용했던 JSONObject의 get 메소드를 동일한 방식으로 EL문에서 사용하면, 마찬가지로 view 단에서도 해당 제이슨 객체의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물론 forward로 JSONObject객체를 view에 전달해야지 가능하다. 메인 이미지 출..
2021-07-18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를 바인딩하는 몇 가지 메서드가 존재하는데, 그중에서 오늘은 apply를 알아보도록 하자. - 예제1 //사람의 정보 함수 function person(name, age){ this.hisName = name; this.hisAge = age; } const person1 =new person('king', 25); // 학년이 추가된 학생 함수 function student(name, age, grade){ person.apply(this, [name,age]) this.hisGrade = grade; } const student1 = new student('kking', 30, 5); console.log(person1.hisName); //king conso..
2021-07-17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JSON 형태로 주고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경우 라이브러리 추가 및 메이븐에서 의존관계를 주입해야 한다. 자주쓰는 JSON 라이브러리 두 가지가 있는데, 상황에 따라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된다. - pom.xml dependencies에 아래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주면 된다. 둘다 넣어도 되고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서 해당 의존관계만 주입해주어도 된다. org.json json 20180813 com.googlecode.json-simple json-simple 1.1 - 관련 링크 직접적인 라이브러리 링크도 같이 확인해보면 된다. org json 링크 https://mvnrepository.co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