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27 1. 문제 문제 설명 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s의 길이는 1 이상 150,000 이하입니다. s에는 '1'이 최소 하나 이상..
2022-09-20 1. 설정 방법 아래 명령어로 profile 문서 편집 실행 # vi /etc/profile shift + g 키를 눌러 제일 밑으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를 삽입한다. JAVA_HOME의 경우 자신이 설치한 경로 및 버전에 따라 내용이 바뀔수 있다. export JAVA_HOME=/usr/lib/jdk1.8.0_212 export PATH=$PATH:$JAVA_HOME/bin 이후 source 명령을 사용해 해당 변경 정보를 저장한다. # source /etc/profile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Mailchimp on Unsplash
2022-09-19 1. 문제 설명 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 단, 첫 문자가 알파벳이 아닐 때에는 이어지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면 됩니다. (첫 번째 입출력 예 참고)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를 JadenCase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s는 길이 1 이상 2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s는 알파벳과 숫자, 공백문자("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숫자는 단어의 첫 문자로만 나옵니다. 숫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는 없습니다. 공백문자가 연속해서 나올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시 예시 "3people unFollowed me"-> "3people Unfollowed Me" "for the l..
2022-09-16 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기존의 ALB는 다르게 세션을 고정하기 위해 설정해주어야 하는 항목이 두 가지 있다. 1. 방법 우선적으로 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 항목을 활성화 처리를 해야 한다. 해당 항목은 로드밸런싱 > 로드 밸런서 > 자신의 NLB 체크박스 클릭 > 설명 하단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정이 안되어 있다면 속성 편집을 클릭해 아래와 같이 활성화해주면 된다. 다음은 해당 요청을 받는 리스너(타겟 그룹)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자. 자신의 NLB 타겟 그룹에 속성 항목을 보면 고정이라는 옵션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옵션을 켬으로 설정하면, 하나의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른 세션 고정을 할 수 있다. 만약에 해당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편집을 눌러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된다..
2022-09-13 - 방법 톰켓이 설치된 디렉터리에 /conf/server.xml을 열어보면 tomcat 실행 시에 적용되는 서버 설정이 있다. 그중에서 service 태그에 적혀 있는 내용이 현재 프로젝트 포트 및 경로가 적혀 있는 부분이다. 바로 밑에 이를 복사하여 똑같이 하나 더 만들어주고 service name 과 connector port 만 중복되지 않게 설정해 주면 하나의 톰캣 서버에서 두 개의 포트를 http로 리슨 할 수 있게 된다.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Keith Tanner on Unsplash
2022-09-07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파라미터로 넘기는 과정에서 + 기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기호가 공백으로 치환되어 전달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원인 아래의 참고링크에서 확인해보면 + 는 쿼리 스트링에서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나타난다고 한다. 비슷한 문자열로는 &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래서 +를 적절한 다른 문자열로 치환을 해줘야 한다고 한다. 2. 해결 방법 아래와 같이 + 기호가 들어간 문자열을 encodeURIComponent 메소드로 감싸서 파라미터를 전달해주면 + 기호의 생략 없이 전달이 되게 된다. var param = vartest+12314 var encodedURL = "http://example.com/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