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0 1. 원인 "Type 'bigint' is not assignable to type 'ReactNode'" 오류는 일반적으로 TypeScript와 React를 함께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오류는 ReactNode 타입과 bigint 타입 간의 호환성 문제를 나타내는데, ReactNode는 React 컴포넌트가 반환하는 모든 유형의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TypeScript 타입입니다. 해당 오류는 주로 JSX나 컴포넌트에서 bigint 타입의 값을 ReactNode로 사용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2. 방법 아래의 두가지 방식으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const myBigInt: bigint = BigInt(1234567890); // ... {myBigInt.toS..
2023-08-18 1. repeat(반복횟수) repeat는 문자열을 반복 횟수만큼 연결한 값의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앞에 문자열이 비어 있거나 카운트가 0이면 빈 문자열이 반환됩니다. @Test public void whenRepeatStringTwice_thenGetStringTwice() { String output = "La ".repeat(2) + "Land"; System.out.println(output); MatcherAssert.assertThat(output, Matchers.is("La La Land")); } 2. strip() 모든 선행 및 후행 공백이 제거된 문자열을 결과값으로 반환합니다. 문자열 개체가 빈 문자열을 나타내거나 문자열의 모든 코드 포인트가 공백인 경우 빈 문자열..
2023-08-07 1. 오류 SpringBoot의 별다른 설정없이 최초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오류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성을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Spring Boot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을 기대하며, 이에 대한 구성이 없을 경우 해당 오류가 발생한다. *************************** APPLICATION FAILED TO START *************************** Description: Failed to configure a DataSource: 'url' attribute is not specified and no embedded datasource could be conf..
2023-08-05 1. 정의 -- 격리수준 조회 SELECT @@tx_isolation; -- 격리수준 설정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 * READ UNCOMMITTED (커밋되지 않은 읽기) 가장 낮은 격리 수준으로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변경한 데이터가 커밋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트랜잭션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더티 리드(Dirty Read)'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트랜잭션이 롤백될 경우 읽은 데이터도 롤백될 수 있습니다. 이 격리 수준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고립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READ COMMITTED (커밋된 읽기) 이 격리 수준에서는 커밋된 데이터만 다른 트랜잭션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티 리드(Dirty Read..
2023-07-29 1. 정의 즉시 실행 함수 표현(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은 정의되자마자 즉시 실행되는 Javascript Function 를 말한다. 이는 Self-Executing Anonymous Function 으로 알려진 디자인 패턴이고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괄호((), Grouping Operator)로 둘러싸인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이다. 이는 전역 스코프에 불필요한 변수를 추가해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IFE 내부안으로 다른 변수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두 번째 부분은 즉시 실행 함수를 생성하는 괄호()이다. 이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즉..
2023-07-22 1. 방법 MySQL에서 decimal 타입 컬럼의 소수점 뒤에 자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SQL의 내장 함수인 MOD()를 사용할 수 있다. MOD() 함수는 첫 번째 인자를 두 번째 인자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하는 함수이며, 소수점 뒤에 자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숫자를 1로 나눈 나머지가 0보다 크게 된다. SELECT * FROM your_table WHERE MOD(your_decimal_column, 1) > 0; 위 쿼리에서 your_table은 검색하려는 테이블 이름이며, your_decimal_column은 검사하려는 decimal 타입의 컬럼 이름이다. 쿼리는 your_decimal_column 값이 소수점 뒤에 자리가 있는 경우에만 조건에 만족하게 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