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9 1. 설치 flutter_dotenv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거며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다. pubspec.yaml 설정 파일에 아래와 같이 의존관계 작성 후 저장한다. # 버전은 자신에게 맞는 것으로 설정한다. dependencies: flutter_dotenv: ^5.1.0 2. 사용법 우선 자신의 App root 경로에 .env 파일을 생성한다. 그 후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 변수 값을 key=value 형태로 작성한다. URL=https://www.naver.com/ ENV=local # This is a comment pubspec.yaml 의 assets 에도 아래와 같이. env 정보를 작성한다. assets: - .env main.dart 파일에도 앱 실행전 .env 파..
2023-12-08 1. 방법 아래 톱니 모양의 시스템 설정을 클릭한다. 마우스를 검색한다. 자연스러운 스크롤을 On 설정이 되어 있는것을 Off 처리로 바꾼다. 메인 이미지 출처 : 사진: Unsplash의NEOM
2023-12-07 1. listview 명시적으로 지정된 만큼 스크롤 가능한 선형 위젯 배열을 만든다. 이 생성자는 하위 수가 적은 목록 보기에 적합핟. 목록을 구성하려면 실제로 표시되는 하위 항목만이 아니라 목록 보기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하위 항목에 대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10000개의 항목들을 리스트로 만들어야 한다면 10000개를 모두 리스트에 그려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https://api.flutter.dev/flutter/widgets/ListView-class.html ListView class - widgets library - Dart API A scrollable list of widgets arranged linearly. ListView is t..
2023-12-05 1. Named constructors 다트에서는 하나의 클래스 내의 여러 개의 생성자를 만드는 것을 허용한다. 각 생성자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이름을 가지게 되는데 이게 Named constructors이다. 2. 방법 사용방법은 간단한다. 아래의 예제를 보자. void main() { var p1 = Point.origin(); print("${p1.x} / ${p1.y}"); //0 / 0 } class Point { double x, y; // Basic constructors Point(this.x, this.y); //Named constructors Point.origin() : x = 0, y = 0; } Named constructors는 예제와 같이 Class 명과 명..
2023-12-04 1. 정의 동일 object에 대하여 일련의 해당 object 의 메소드/필드 접근 시 좀 더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코드 표현법이다. 2. 사용법 아래는 공식 문서의 예제 코드이다. var paint = Paint(); paint.color = Colors.black; paint.strokeCap = StrokeCap.round; paint.strokeWidth = 5.0; 위의 코드는 paint 인스턴스 변수의 설정값을 변경해주는 코드이다. 해당 코드에 Cascade notation 문법을 적용해 보자 var paint = Paint() ..color = Colors.black ..strokeCap = StrokeCap.round ..strokeWid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