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0 1. State 각각의 위젯들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상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위젯의 상태를 초기화하기 위해서 build()라는 메서드를 사용하게 되며 해당 메서드는 데이터의 필요 시점에 자식 위젯의 인스턴스화하는 것을 보장해 준다.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ContentWidget(importantState); } 다만 아래와 같이 계층 구조가 깊어질 수록 상위 위젯에 정보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워지는데 이를 위해 Flutter에서는 InheritedWidget 클래스를 제공한다. 해당 클래스를 활용하면, 현재 위젯의 상위위젯에 접근할 수 있다. 아래는 ExamWidget 또는 GradeWidget 개체 중 하..
2023-12-04 1. 정의 동일 object에 대하여 일련의 해당 object 의 메소드/필드 접근 시 좀 더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코드 표현법이다. 2. 사용법 아래는 공식 문서의 예제 코드이다. var paint = Paint(); paint.color = Colors.black; paint.strokeCap = StrokeCap.round; paint.strokeWidth = 5.0; 위의 코드는 paint 인스턴스 변수의 설정값을 변경해주는 코드이다. 해당 코드에 Cascade notation 문법을 적용해 보자 var paint = Paint() ..color = Colors.black ..strokeCap = StrokeCap.round ..strokeWidth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