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루트 볼륨(EBS) 증설하는 방법 알아보기.

2022-12-09


andrew-meehan-fEQSk3HFneA-unsplash.jpg
Photo by ANDREW MEEHAN on Unsplash


1.  EC2 정보 확인

 

EC2 스토리지의 루트 볼륨 정보를 확인한다.상단에 있는 볼륨디바이스가 root이니 클릭해서 콘솔 화면을 이동한다.

 

etc-image-1


2. 볼륨 수정 작업

 

선택된 볼륨을 작업 버튼을 이용해 볼륨 수정 페이지로 이동한다.

 

etc-image-2


원하는 크기로 변경하고 수정 버튼을 클릭한다. (현재보다 작은 용량으로는 변경이 불가하다.)

 

etc-image-3


3. 확장된 디스크 정보 확인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리눅스 스토리지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lsblk

 

nvme0n1 의 용량이 [자신이 선택한 용량]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nvme0n1는 디스크에 설정된 이름이기 때문에 각자 다를 수 있다. 여기 파티션 p 중 1번은 기존에 사용하던 루트 파티션 용량으로 nvme0n1와 같이  [자신이 선택한 용량] 으로 맞춰주는 작업을 해보자.

 

etc-image-4


4. 파티션 증설 작업

 

growpart 명령어로 파티션을 증설할 수 있다. 아래 명령어를 참고하여 자신의 기존에 사용하던 파티션의 용량을 증설한다.

ex) growpart /dev/xvda 1

 

# growpart /dev/nvme0n1 1
# growpart /dev/[자신의 루트 디스크 명] [파티션번호]

5. 파일 시스템 용량 확장

 

다음은 파일 시스템의 용량 확장 명령어를 사용하여 기존 시스템의 용량을 확장한다. (자신의 파일 시스템이 ext2~4를 쓴다면 xfs_growfs 대신에 resize2fs로 변경해서 사용해야 한다. 파일 시스템이 xfs라면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 xfs_growfs /dev/nvme0n1p1
# xfs_growfs /dev/[자신의 루트 디렉토리 파티션 명]

6. 최종 확인

 

이제 다시 lsblk로 파티션 별 용량 정보를 확인하면 [자신이 선택한 용량]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lsblk

 

etc-image-5


메인 이미지 출처 : Photo by ANDREW MEEHAN on Unsplash